이전 글에서 필자는 Ubuntu 11.04에 Google Chrome Web Browser 를 설치했다. 물론 기본적으로 들어있는 Firefox 를 사용해도 되지만,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Chrome 를 설치했다. 그런데, Chrome 을 설치했는데도 여전히 한글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었다. 방문한 웹사이트가 UTF-8을 지원하면 당연히 본문의 한글은 잘 처리된다. 하지만 타이틀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Firefox 에서 Naver를 들어갔더니 한글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었다. 이번엔 Google Chrome 을 설치하고 필자의 블로그에 들어가보자. 본문의 한글은 제대로 처리되지만(UTF-8 때문에), 타이틀을 보면 여전히 한글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이번 글에서는 한글을 제..
아마도 요새 가장 급부상하는 웹브라우저는 Google Chrome 이 아닐까 싶다. 이미 20%이상 점유율을 갖고 있으면서, 이제 3위에서 2위까지 치고 올라올 태세다. 아직 한국에서는 요원한 말이겠지만, 써보신분은 아시겠지만, Google Chrome 이 가장 빠르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 9 이 Release 됐지만, 내가 알기에 여기저기 문제점이 튀어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한국은 아직도 고질적인 ActiveX 환경을 벗어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기 전까지는 아무리 MS 에서 좋은 성능의 IE 가 Release 돼도 한국상황은 여의치 않을 것 같다. Ubuntu 에는 기본적인 웹브라우저가 Firefox 가 있다. 현재 필자의 Ubuntu 는 11.04 로서 ..
Ubuntu 에서 apt-get update 를 하다보면 update 가 안되고,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이유는 kr.archive.ubuntu.com 으로 접속되지 않아서 필요한 업데이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접속될 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그래서 업데이트 서버 목록을 수정해야 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sources.list 를 수정해서 Update Server 를 변경하는 것을 배워보도록 하자. sources.list 가 있는 위치는 아래와 같다. /etc/apt/sources.list 위의 파일을 vi 에디터로 열어서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를 http://ftp.daum.net/ubuntu 로 변경하면 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CSS3
- dev-c++
- windows 7
- 리눅스
- ubuntu
- 원격로그인
- Javadoc
- Android
- LECTURE
- PHP
- SQL
- J2SE
- Installation
- JDBC
- 우분투
- javascript
- EditPlus
- Windows 8.1
- AJAX
- Eclipse
- Fedora14
- JAR
- ftp서버
- Apache
- Linux
- classpath
- Fedora
- Flex
- command tools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