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글에서 Ubuntu에 Windows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해 Wine 을 설치했었다. 특별히 개발자에게 있어서 UML Tools 이 필요한데, 이번 글에서는 개발자들이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StarUML 을 Ubuntu 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StarUML 은 다루기가 쉽고 UML 스펙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다이어그램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아주 편리한 CASE Tool 이다. 하지만, Ubuntu 에서는 그림의 떡이었다. 왜냐하면 StarUML 은 Windows 에서만 실행되기 때문이다. 필자같이 Ubuntu 에서 Java를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은 StarUML 을 사용하고 싶지만, 다이어그램을 그리기 위해서는 할 수 없이 부득불 Windows 로 부팅했어야 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Ubuntu 에 설치하고 굳이 Windows 로 부팅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다만, 이미 Wine 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현재 필자의 Ubuntu는 11.10이며, Wine 버전은 1.3 이다.
1. Google 에서 'StarUML'로 검색하면 가장 위에 나오는 링크를 클릭한다. 또는 아래의 경로를 방문한다.
2. 왼쪽 프레임의 메뉴에서 [StarUML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한다.
10. 시작메뉴의 메뉴이름 지정이다. 기본값 그대로 쓰자.
11. 바탕화면(<-Windows 처럼)에 단축 아이콘 갖다 놓자.
12. 자~ 이제 설치해보자.
13. 정말 Windows 같다.
14. 어라~? 잘 설치돼다가 마지막쯤에 가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타난다. 당황스럽다. 이 에러의 의미는 특정 컴포넌트가 Ubuntu 에 설치돼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일단 [Abort]를 클릭하여 설치를 강제 종료한다.
15. Windows 용 컴포넌트 파일을 설치하기 위해 일단 Wine 환경으로 들어가자. Dash-Home 에서 [wine] 을 입력하고 목록 중에서 [Winetricks] 를 선택한다.
16. [Winetricks] 창이 나타난다. 목록 중 [Select the default wineprefix] 가 선택돼있는 것을 확인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17. 뭐라고 잔뜩 씌여진 창이 나타난다. 자세히 읽어 보니, 도움을 주는 말(?)이다. winetricks 개발시 필요한 정보로 보자. [Yes] 버튼 클릭.(빨리 넘어가야지~)
18. 뭔가 고맙단다. ㅎㅎ [OK] 버튼 클릭.
19. 지금 wine 환경설정을 하려는 이유는 특정 컴포넌트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아래의 목록 중 [Install a Windows DLL or component] 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하자.
20. 2개의 컴포넌트를 설치한다. [vcrun6]와 [msxml4] 이다. 이 2개의 컴포넌트가 Ubuntu 에 설치되지 않아서 아니 정확하게는 Wine 에 설치돼있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뭐든지 알면 쉽다. 해당 목록을 체크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21. 음~ msxml4 부터 설치한다.
22. msxml 설치 중...
23. 계약 동의하고...
24. 사용자 정보를 넣으라고 하는데, 그냥 지나가도 된다. 다음...
25. 설치시작하기 위해 [Install Now] 버튼 클릭하자.
26. MSXML 4.0 설치 끝...
27. 이제 vcrun6 설치할 차례이다.
28. 설치가 모두 정상적으로 끝나면 다시 아래의 그림처럼 환경설정 창으로 돌아간다. 설치가 모두 끝났기 때문에 [Cancel] 버튼 클릭.
29. 역시 [Cancel] 클릭.
30. 이제 다시 설치해 보자. 이번에는 필요한 컴포넌트를 미리 설치했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설치될 것이다.
31. 역시 설치가 성공적으로 마쳤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자.
32.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짜짠~ Windows 에서는 당연한 그림이 Ubuntu 에서는 이렇게 반가울 수가~
33. 와우~ 정상적으로 설치됐다.
34. 프로그램을 닫을 때 혹시 아래의 그림과 같은 경고가 나타날 수 있다. [Yes]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 부터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35. 바탕화면에는 Windows 처럼 단축 아이콘이 떠~억 버티고 있다.
36. 단축 아이콘을 Bar 에 드래그 하여 아이콘을 위치해 놓자.
37. 필자는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주 간단하게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그려봤다. 성공~ 이제 Windows 에서만 실행됐던 StarUML 을 Ubuntu 에서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여기서 강의 끝~~~
1. Google 에서 'StarUML'로 검색하면 가장 위에 나오는 링크를 클릭한다. 또는 아래의 경로를 방문한다.
2. 왼쪽 프레임의 메뉴에서 [StarUML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한다.
3. 현재 필자가 다운로드 받으려는 StarUML 은 2005년 12월 30일 버전인 5.0 이다. 더 이상 버전 업을 하고 있지 않는데, 아쉽다. 이런 훌륭한 툴이... 다운로드하기 위해 링크를 클릭하자.
4. 설치하기 위해 당연히 소스파일인 아닌 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파일 사이즈는 약 22.7MB 이다.
5. 필자는 /home/계정/Downloads 디렉토리에 다운로드했다.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이름은 [staruml-5.0-with-cm.exe] 이다.
6.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컨텍스트 메뉴중 [Open With] --> [Wine Windows Program Loader] 을 선택하여 Wine 을 이용한 프로그램 설치를 하자.
7. 출발이 좋다~. Windows 에서 설치하는 것처럼 설치 Wizard 가 시작된다. [Next] 버튼을 클릭하자.
8. 사용자 계약 동의를 하고...
9. 설치 위치는 Windows 와 똑같이 [C:\Program Files\StarUML] 로 한다.
10. 시작메뉴의 메뉴이름 지정이다. 기본값 그대로 쓰자.
11. 바탕화면(<-Windows 처럼)에 단축 아이콘 갖다 놓자.
12. 자~ 이제 설치해보자.
13. 정말 Windows 같다.
14. 어라~? 잘 설치돼다가 마지막쯤에 가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타난다. 당황스럽다. 이 에러의 의미는 특정 컴포넌트가 Ubuntu 에 설치돼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일단 [Abort]를 클릭하여 설치를 강제 종료한다.
15. Windows 용 컴포넌트 파일을 설치하기 위해 일단 Wine 환경으로 들어가자. Dash-Home 에서 [wine] 을 입력하고 목록 중에서 [Winetricks] 를 선택한다.
16. [Winetricks] 창이 나타난다. 목록 중 [Select the default wineprefix] 가 선택돼있는 것을 확인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17. 뭐라고 잔뜩 씌여진 창이 나타난다. 자세히 읽어 보니, 도움을 주는 말(?)이다. winetricks 개발시 필요한 정보로 보자. [Yes] 버튼 클릭.(빨리 넘어가야지~)
18. 뭔가 고맙단다. ㅎㅎ [OK] 버튼 클릭.
19. 지금 wine 환경설정을 하려는 이유는 특정 컴포넌트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아래의 목록 중 [Install a Windows DLL or component] 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하자.
20. 2개의 컴포넌트를 설치한다. [vcrun6]와 [msxml4] 이다. 이 2개의 컴포넌트가 Ubuntu 에 설치되지 않아서 아니 정확하게는 Wine 에 설치돼있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뭐든지 알면 쉽다. 해당 목록을 체크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21. 음~ msxml4 부터 설치한다.
22. msxml 설치 중...
23. 계약 동의하고...
24. 사용자 정보를 넣으라고 하는데, 그냥 지나가도 된다. 다음...
25. 설치시작하기 위해 [Install Now] 버튼 클릭하자.
26. MSXML 4.0 설치 끝...
27. 이제 vcrun6 설치할 차례이다.
28. 설치가 모두 정상적으로 끝나면 다시 아래의 그림처럼 환경설정 창으로 돌아간다. 설치가 모두 끝났기 때문에 [Cancel] 버튼 클릭.
29. 역시 [Cancel] 클릭.
30. 이제 다시 설치해 보자. 이번에는 필요한 컴포넌트를 미리 설치했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설치될 것이다.
31. 역시 설치가 성공적으로 마쳤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자.
32.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짜짠~ Windows 에서는 당연한 그림이 Ubuntu 에서는 이렇게 반가울 수가~
33. 와우~ 정상적으로 설치됐다.
34. 프로그램을 닫을 때 혹시 아래의 그림과 같은 경고가 나타날 수 있다. [Yes]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 부터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35. 바탕화면에는 Windows 처럼 단축 아이콘이 떠~억 버티고 있다.
36. 단축 아이콘을 Bar 에 드래그 하여 아이콘을 위치해 놓자.
37. 필자는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주 간단하게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그려봤다. 성공~ 이제 Windows 에서만 실행됐던 StarUML 을 Ubuntu 에서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여기서 강의 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HP
- Linux
- Android
- 우분투
- javascript
- LECTURE
- 리눅스
- CSS3
- classpath
- Flex
- JAR
- EditPlus
- Fedora
- AJAX
- Apache
- windows 7
- Windows 8.1
- JDBC
- J2SE
- Installation
- dev-c++
- Eclipse
- 원격로그인
- Fedora14
- command tools
- ftp서버
- mysql
- Javadoc
- SQL
- ubuntu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