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글에서는 Linux Fedora14에서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이하 XE)를 설치하는 것을 배워보자.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 무료버전이기는 하지만, 제한이 몇가지 있는데, 그 중에 설치할 수 있는 플랫폼은 Microsoft Windows 와 Linux 만 가능하며 그것도 현재까지는 32비트 CPU 만 지원한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라이센스 영향이 클거라고 판단하지만, 보다 다양한 머쉰에 다양한 플랫폼까지 지원한다면(가령, Solaris 버전) 정말 좋은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 같다. ㅎㅎ
일단 Linux 버전은 rpm 버전과 deb 버전 두가지를 출시하고 있다. 자신의 Linux 플랫폼에 맞게 다운로드 설정하면 될 것 같다. Microsoft Windows 버전에서는 설치 마법사가 지원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 몇가지 주의할 점, 가령 SYS 계정의 패스워드, 설치디렉토리...만 주의하면 되지만, Linux 버전에서는 좀 더 까다롭게 설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 또한 Windows 버전에서는 설정하지 않았던 부분들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신경써서 설치해보자. 이게 Linux 버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묘미랄까?
1. Linux 에서 설치된 Firefox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Oracle 사이트를 방문해 보자. http://www.oracle.com/index.html 이다.
2. 메뉴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니 스크롤다운 메뉴가 나타난다. [Databases] -->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링크를 클릭한다.
3. 현재 XE 는 2개의 플랫폼만을 지원하고 있는데, Linux 버전을 지원하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for Linux x86]링크를 클릭한다.
4. 사용자 계약 동의서(OTN License Agreement) 에 동의하고...
5. 동의 라디오버튼을 클릭하니 신기하게 라디오버튼이 사라진다. ㅎㅎ 여기서 조심할 것은 지원하는 charset 이 한글을 사용하려면 [oracle-xe-10.2.0.1-1.0.i386.rpm] 을 다운 받는 것이 아니라, Universal 버전을 다운로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의 파일은 LATIN1 즉 ASCII 방식의 언어 다른 말로 하자면 영어만 지원하는 디비이고 우리는 한글 즉 2바이트 charset 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아래에 있는 [oracle-xe-univ-10.2.0.1-1.0.i386.rpm] 다운받아야 한다. 링크 클릭.
6.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OTN 계정이 필요하다.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해서 다운받도록 하고 있으면 Username과 Password 를 입력한 다음 [Go] 버튼을 클릭한다.
7. 다운로드 하려는 파일이름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하고...저장한다.
8. 위의 7번째 까지는 Windows 버전을 다운로드하는 것과 별 다른 차이가 없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Linux 만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신 바싹차리고 해야 한다. 먼저 Linux 에서는 일반 계정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없으니까 일단 관리자로 변경하자.
9. sqlplus 같은 명령어를 어느 디렉토리에서나 입력하게 하려면 PATH 를 수정해야 한다.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과 root 계정에 대해 bash_profile 을 수정한다. 먼저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bash_profile 을 수정하기 위해 vi 에디터로 열자.
10. 좀 복잡하게 보이지만,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밑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된다.
11. oracle 계정 뿐만 아니라 root 계정의 bash_profile 도 편집하기.
12. root 계정의 bash_profile 도 위의 oracle 계정의 bash_profile 에 입력한 것처럼 동일하게 넣고 저장한다. oracle 계정과 root 계정의 bash_profile 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했다면 아래와 같이 bash_profile 설정하자.
13. 지금 부터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이용해서 Oracle XE 를 설치할 차례이다.
14. 프로그램 종속성 문제라면 당연히 yum 으로 설치하면 될 것이다.
15. 이번엔 설치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일단 yum 으로 설치하면 좋은게, 종속성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여러 관련된 선수 파일들을 설치한다는 것이다.
16. 후훗...그래도 문제없다. 이미 종속성 문제가 해결됐기 때문에 다시 rpm 으로 설치하면 된다....이건 잔머리다...
17. 환경설정하기 위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환경설정 시작하자.
18. 몇가지 주의 할 점이 있다. 잘 모르겠으면 그냥 엔터치면 된다.
19. 계속해서 환경설정을 이어간다.
20. 이제 마지막이다.
21. 이제 웹브라우저로 XE 에 접근해 보자. http://localhost:8080/apex
22. 아직 디비 계정을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SYS 혹은 SYSTEM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패스워드는 oracle 이었다.
23. 드뎌 디비 관리자인 SYS 계정으로 로그인 성공.
24. XE 는 설치하면 아무 샘플 테이블이 없다. 시중에 있는 Oracle 책에서 다루고 있는 emp 테이블이나 dept 테이블이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샘플 테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관리자로 sqlplus 로그인하자.
25. 샘플 테이블은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바란다.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적당한 디렉토리...필자는 Oracle 설치 디렉토리에 복사했다.
26. 일반 계정인 scott 계정을 생성하자. scott 계정은 Windows 에 XE 를 설치할 때와 달리 수동으로 생성해야 한다.
27. 위에서 복사한 파일 아니 다운로드 받은 demobld.sql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고 파일 속의 SQL 문장을 실행한다.
28. 샘플 테이블 설치가 모두 끝나고 난 후, 다시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접속해서 확인해 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dept. emp, dummy, salgrade 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단 Linux 버전은 rpm 버전과 deb 버전 두가지를 출시하고 있다. 자신의 Linux 플랫폼에 맞게 다운로드 설정하면 될 것 같다. Microsoft Windows 버전에서는 설치 마법사가 지원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 몇가지 주의할 점, 가령 SYS 계정의 패스워드, 설치디렉토리...만 주의하면 되지만, Linux 버전에서는 좀 더 까다롭게 설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 또한 Windows 버전에서는 설정하지 않았던 부분들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신경써서 설치해보자. 이게 Linux 버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묘미랄까?
1. Linux 에서 설치된 Firefox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Oracle 사이트를 방문해 보자. http://www.oracle.com/index.html 이다.
2. 메뉴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니 스크롤다운 메뉴가 나타난다. [Databases] -->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링크를 클릭한다.
3. 현재 XE 는 2개의 플랫폼만을 지원하고 있는데, Linux 버전을 지원하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for Linux x86]링크를 클릭한다.
4. 사용자 계약 동의서(OTN License Agreement) 에 동의하고...
5. 동의 라디오버튼을 클릭하니 신기하게 라디오버튼이 사라진다. ㅎㅎ 여기서 조심할 것은 지원하는 charset 이 한글을 사용하려면 [oracle-xe-10.2.0.1-1.0.i386.rpm] 을 다운 받는 것이 아니라, Universal 버전을 다운로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의 파일은 LATIN1 즉 ASCII 방식의 언어 다른 말로 하자면 영어만 지원하는 디비이고 우리는 한글 즉 2바이트 charset 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아래에 있는 [oracle-xe-univ-10.2.0.1-1.0.i386.rpm] 다운받아야 한다. 링크 클릭.
6.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OTN 계정이 필요하다.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해서 다운받도록 하고 있으면 Username과 Password 를 입력한 다음 [Go] 버튼을 클릭한다.
7. 다운로드 하려는 파일이름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하고...저장한다.
8. 위의 7번째 까지는 Windows 버전을 다운로드하는 것과 별 다른 차이가 없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Linux 만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신 바싹차리고 해야 한다. 먼저 Linux 에서는 일반 계정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없으니까 일단 관리자로 변경하자.
$ su
Password : ************ <-- root 계정 패스워드 입력
# groupadd oinstall <-- 설치할 계정이 들어갈 그룹 생성
# groupadd dba <-- DB 를 관리할 그룹 생성
#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 oracle 이라는 계정을 생성하면서 이미
생성한 oinstall 과 dba 그룹에 추가
# passwd oracle <---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 지정
Changing password for user oracle.
New password : <---- 저자는 그냥 패스워드도 oracle 이라고 했슴.
BAD PASSWORD :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BAD PASSWORD : is too simple <--- 입력한 패스워드가 너무 단순하고 사전에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경고가 나타남.
Retype new password : <--- 경고 메시지에 별로 신경쓰지 않고 용감하게
다시 oracle 이라고 입력함.
passwd :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내가 그렇게 사용하겠다고
우기니까 통과됨.
Password : ************ <-- root 계정 패스워드 입력
# groupadd oinstall <-- 설치할 계정이 들어갈 그룹 생성
# groupadd dba <-- DB 를 관리할 그룹 생성
#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 oracle 이라는 계정을 생성하면서 이미
생성한 oinstall 과 dba 그룹에 추가
# passwd oracle <---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 지정
Changing password for user oracle.
New password : <---- 저자는 그냥 패스워드도 oracle 이라고 했슴.
BAD PASSWORD :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BAD PASSWORD : is too simple <--- 입력한 패스워드가 너무 단순하고 사전에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경고가 나타남.
Retype new password : <--- 경고 메시지에 별로 신경쓰지 않고 용감하게
다시 oracle 이라고 입력함.
passwd :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내가 그렇게 사용하겠다고
우기니까 통과됨.
9. sqlplus 같은 명령어를 어느 디렉토리에서나 입력하게 하려면 PATH 를 수정해야 한다.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과 root 계정에 대해 bash_profile 을 수정한다. 먼저 방금 생성한 oracle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bash_profile 을 수정하기 위해 vi 에디터로 열자.
# vi /home/oracle/.bash_profile
10. 좀 복잡하게 보이지만,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밑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된다.
#------------------------------------
# Oracle XE Setting
#------------------------------------ <-- 다른 환경설정내용과 구별하고 향후 잘 알아보기
위해 라벨링한 것임.
export ORACLE_BASE=/usr/lib/oracle/xe/app/oracle <-- Oracle 을 설치하면 실제로
설치되는 경로를 입력함.
대소문자 구별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함.
export ORACLE_SID=XE <--- Oracle XE 의 전역데이타변수이름, 꼭 XE라고 넣어야
함.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2.0/server <-- Oracle 홈 디
렉토리 설정
PATH=$PATH:$HOME/bin:$ORACLE_HOME/bin <-- 기존의 PATH 에 Oracle
홈디렉토리 하위의 bin
디렉토리 추가
export PATH
unset USERNAME <-- 여기까지 반드시 대소문자 구별하니까 구별해서
입력할 것.
# Oracle XE Setting
#------------------------------------ <-- 다른 환경설정내용과 구별하고 향후 잘 알아보기
위해 라벨링한 것임.
export ORACLE_BASE=/usr/lib/oracle/xe/app/oracle <-- Oracle 을 설치하면 실제로
설치되는 경로를 입력함.
대소문자 구별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함.
export ORACLE_SID=XE <--- Oracle XE 의 전역데이타변수이름, 꼭 XE라고 넣어야
함.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2.0/server <-- Oracle 홈 디
렉토리 설정
PATH=$PATH:$HOME/bin:$ORACLE_HOME/bin <-- 기존의 PATH 에 Oracle
홈디렉토리 하위의 bin
디렉토리 추가
export PATH
unset USERNAME <-- 여기까지 반드시 대소문자 구별하니까 구별해서
입력할 것.
11. oracle 계정 뿐만 아니라 root 계정의 bash_profile 도 편집하기.
vi /root/.bash_profile
12. root 계정의 bash_profile 도 위의 oracle 계정의 bash_profile 에 입력한 것처럼 동일하게 넣고 저장한다. oracle 계정과 root 계정의 bash_profile 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했다면 아래와 같이 bash_profile 설정하자.
# source /home/oracle/.bash_profile
# source /root/.bash_profile
# source /root/.bash_profile
13. 지금 부터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이용해서 Oracle XE 를 설치할 차례이다.
# cd Downloads <-- 다운로드 받은 디렉토리로 이동
# ls <-- 파일 확인
oracle-xe-univ-10.2.0.1-1.0.i386.rpm <--- 파일이 이거여야 함.
# rpm -ivh oracle-xe*.rpm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rpm 이니까 rpm 명령으로 설치
....
....
error : .... <-- 에러 발생...프로그램 종속성 문제로 인하여 설치 실패
# ls <-- 파일 확인
oracle-xe-univ-10.2.0.1-1.0.i386.rpm <--- 파일이 이거여야 함.
# rpm -ivh oracle-xe*.rpm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rpm 이니까 rpm 명령으로 설치
....
....
error : .... <-- 에러 발생...프로그램 종속성 문제로 인하여 설치 실패
14. 프로그램 종속성 문제라면 당연히 yum 으로 설치하면 될 것이다.
# yum -y install oracle-xe-univ-10.2.0.1-1.0.i386.rpm <-- yum 명령으로 프로그램
설치
설치
15. 이번엔 설치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일단 yum 으로 설치하면 좋은게, 종속성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여러 관련된 선수 파일들을 설치한다는 것이다.
Dependencies Resolved <-- 종속성 문제 해결
...
...
Package oracle-xe-univ-10.2.0.1-1.0.i386.rpm is not signed <-- 역시 이번에도
실패.. sign 이 없단다.
...
...
Package oracle-xe-univ-10.2.0.1-1.0.i386.rpm is not signed <-- 역시 이번에도
실패.. sign 이 없단다.
16. 후훗...그래도 문제없다. 이미 종속성 문제가 해결됐기 때문에 다시 rpm 으로 설치하면 된다....이건 잔머리다...
# rpm -ivh oracle-xe*.rpm
....
....
You must run '/etc/init.d/oracle-xe configure' as the root user to configure the database. <-- 놀라지 마시라...환경설정하라는 것이다. Windows 환경이었다면
설치 마법사가 해주는 일을 Linux 이기 때문에 수동으로 하는 것 뿐이다.
....
....
You must run '/etc/init.d/oracle-xe configure' as the root user to configure the database. <-- 놀라지 마시라...환경설정하라는 것이다. Windows 환경이었다면
설치 마법사가 해주는 일을 Linux 이기 때문에 수동으로 하는 것 뿐이다.
17. 환경설정하기 위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환경설정 시작하자.
cd /etc/init.d/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oracle-xe configure <-- 환경설정 시작
./oracle-xe configure <-- 환경설정 시작
18. 몇가지 주의 할 점이 있다. 잘 모르겠으면 그냥 엔터치면 된다.
Specify the HTTP port that will be used for Oracle Application Express [8080] :
<-- 웹브라우저에서 관리자 화면 접근하기 위해 8080 포트를 사용하겠냐고 물어온다. 그냥 쓰려면 엔터,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다른 포트 번호를 넣는다. 하지만 향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기 때문에 그냥 엔터친다.
Specify a port that will be used for the database listener [1521] :
<-- 관리자용 접속 포트를 1521번을 사용하겠냐고 물어온다. 그냥 웬만하면 엔터친다.
<-- 웹브라우저에서 관리자 화면 접근하기 위해 8080 포트를 사용하겠냐고 물어온다. 그냥 쓰려면 엔터,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다른 포트 번호를 넣는다. 하지만 향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기 때문에 그냥 엔터친다.
Specify a port that will be used for the database listener [1521] :
<-- 관리자용 접속 포트를 1521번을 사용하겠냐고 물어온다. 그냥 웬만하면 엔터친다.
19. 계속해서 환경설정을 이어간다.
Specify a password to be used for database accouts. Note that the same password will be used for SYS and SYSTEM. Oracle recommends the use of different passwords for each database account. This can be done after initial configuration:
Password can't be null. Enter password :
<-- SYS 와 SYSTEM 계정이 사용할 패스워드 설정한다. 그냥 엔터쳤더니 패스워드가 null 이라고 하면서 다시 넣으라고 한다. SYS 의 패스워드도 까먹을까봐 그냥 oracle 이라고 넣었다.
Confirm the password : <-- 다시 한번 더 확인차 넣는다.
Do you want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to be started on boot (y/n) [y] : y <-- 부팅할 때 자동으로 서비스를 올릴거냐고 물어온다. 당연히 y 넣고 엔터친다.
Starting Oracle Net Listener...Done
Configuring Database...
<--- 드디어 데이타베이스 설치한다. 여기서 시간이 쫌 걸린다.
Password can't be null. Enter password :
<-- SYS 와 SYSTEM 계정이 사용할 패스워드 설정한다. 그냥 엔터쳤더니 패스워드가 null 이라고 하면서 다시 넣으라고 한다. SYS 의 패스워드도 까먹을까봐 그냥 oracle 이라고 넣었다.
Confirm the password : <-- 다시 한번 더 확인차 넣는다.
Do you want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to be started on boot (y/n) [y] : y <-- 부팅할 때 자동으로 서비스를 올릴거냐고 물어온다. 당연히 y 넣고 엔터친다.
Starting Oracle Net Listener...Done
Configuring Database...
<--- 드디어 데이타베이스 설치한다. 여기서 시간이 쫌 걸린다.
20. 이제 마지막이다.
Starting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Instance...Done
Installation Completed Successfully. <--- 드뎌 성공적으로 설치 끝.
To access the Database Home Page go to "http://127.0.0.1:8080/apex" <--- 웹브라우저로 접근하기 위한 주소
Installation Completed Successfully. <--- 드뎌 성공적으로 설치 끝.
To access the Database Home Page go to "http://127.0.0.1:8080/apex" <--- 웹브라우저로 접근하기 위한 주소
21. 이제 웹브라우저로 XE 에 접근해 보자. http://localhost:8080/apex
22. 아직 디비 계정을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SYS 혹은 SYSTEM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패스워드는 oracle 이었다.
23. 드뎌 디비 관리자인 SYS 계정으로 로그인 성공.
24. XE 는 설치하면 아무 샘플 테이블이 없다. 시중에 있는 Oracle 책에서 다루고 있는 emp 테이블이나 dept 테이블이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샘플 테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관리자로 sqlplus 로그인하자.
# sqlplus sys/oracle AS SYSDBA <-- sys 계정에 패스워드 oracle 이고, 권한은 DBA
권한으로 로그인하니까...대소분자 구별한다.
주의하자.
권한으로 로그인하니까...대소분자 구별한다.
주의하자.
25. 샘플 테이블은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바란다.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적당한 디렉토리...필자는 Oracle 설치 디렉토리에 복사했다.
26. 일반 계정인 scott 계정을 생성하자. scott 계정은 Windows 에 XE 를 설치할 때와 달리 수동으로 생성해야 한다.
CREATE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그냥
scott 계정의 패스워드를 tiger 로 설정
DEFAULT tablespace USERS
TEMPORARY tablespace temp; <-- 대소문자 구분 없다. SQL 이니까...
scott 계정의 패스워드를 tiger 로 설정
DEFAULT tablespace USERS
TEMPORARY tablespace temp; <-- 대소문자 구분 없다. SQL 이니까...
27. 위에서 복사한 파일 아니 다운로드 받은 demobld.sql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고 파일 속의 SQL 문장을 실행한다.
@ /usr/lib/oracle/demobld.sql <-- 정확히 경로를 넣어야 한다. 위치는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맨 앞에 @를 넣을 것.
중요한 것은 맨 앞에 @를 넣을 것.
28. 샘플 테이블 설치가 모두 끝나고 난 후, 다시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접속해서 확인해 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dept. emp, dummy, salgrade 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javascript
- J2SE
- EditPlus
- Apache
- dev-c++
- command tools
- LECTURE
- mysql
- Windows 8.1
- classpath
- Installation
- 우분투
- Linux
- 원격로그인
- Javadoc
- AJAX
- windows 7
- Android
- Flex
- ubuntu
- PHP
- SQL
- 리눅스
- CSS3
- JDBC
- ftp서버
- Fedora14
- JAR
- Eclipse
- Fedor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