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다운로드받았으니 설치를 해보자. 1. 필자는 C:\Downloads 에 다운로드했다. [시작] --> [실행] 으로 가서 설치 셋업파일을 실행시키자. 2. 환영메시지가 나타나고...[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3. 설치 언어를 선택한다. 한국어로 선택하자. 4. 당연히 사용권 계약서에 동의하기 위해 [동의함]을 클릭하고. 5. [구성 요소 선택] 창에서 기본값인 [Full] 을 그래도 놓고 [다음] 버튼을 누르자. 6. [설치 위치 선택]에서 기본값 경로를 그대로 놓자. 참고로, C:\Program Files 처럼 경로 중간에 공백이 있으면 경로 선택이 되지 않는다. 기본값 대로 C: 루트에 설치한다. [설치] 버튼을 클릭하고... 7. 설치 중... 8. Windows 같은 경우 설치하려는 컴퓨터의..
Linux / Unix 환경에서는 gcc 혹은 g++을 이용하여 C / C++ 코딩을 할 것이다. 하지만 Windows 환경에서는 Microsoft 의 Visual Studio 을 이용할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그럼. 결론은 굳이 우리보고 비싼 돈 주고 프로그램을 구매하거나, 아니면 또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 알아서 구하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아카데미(대학교 혹은 교육센터)에서 C/C++을 배우고자 할 때 당근 Visual Studio 을 써야 하는 것처럼 돼 있다. 물론, Windows Programming, Visual Programming, MFC 를 배울려면 당연히 Visual Studio 을 써야지... 하지만, C/C++의 문법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Visual Studio 를 꼭 써야 하..
리눅스는 배포본의 종류가 많고 특징들도 각각 달라서 처음 쓰는 사람들은 무엇을 골라야 할지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다. 리눅스의 배포본? 또는 배포판이란 무엇인가? 배포판이란? 리눅스 커널(Kernel)을 기반으로 단체 또는 개발자들의 이념이나 기술에 따라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더해서 이용자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을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Kernel만 배포하면 초보자의 입장에서 또 일반 유저의 입장에서 일일이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셋업하고 매니징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몇몇 회사에서 운영체제 형태로 패키징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아마도 Redhat이라는 회사를 들어봤을 것이다. 이 회사 역시 리눅스 Kernel에다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얹어서 배포본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J2SE
- Fedora
- dev-c++
- 리눅스
- Eclipse
- SQL
- ubuntu
- 우분투
- LECTURE
- PHP
- CSS3
- EditPlus
- mysql
- javascript
- Javadoc
- JDBC
- Apache
- windows 7
- Android
- ftp서버
- Linux
- AJAX
- 원격로그인
- Flex
- Installation
- command tools
- JAR
- Windows 8.1
- Fedora14
- classpat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