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는 부팅할 때 Swapper 프로세서가 각 장치 드라이버를 초기화하고 난 후, PID 1번인 init 프로세서를 실행한다. init 프로세서를 실행하면 당연히 Swapper 프로세서가 종료된다. init 프로세서가 실행되고 난 후, 부팅레벨을 결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부팅레벨 즉 영어로는 'System Runlevel'을 결정하게 된다. 부팅레벨은 /etc/inittab 에서 결정하는데, 한번 파일을 열어보자. cat 으로 열어봤다. Defautl runlevel 을 죽~ 보여주는데, 0부터 6까지 모두 7가지 인것을 알 수 있다. runlevel 0 이 종료이고, 6이 재부팅(reboot)이며, 현재 runlevel 이 5 인것을 알 수 있다. runlevel 이 5 라는 것은 x11 즉 X..
Fedora 13 을 설치할 때 영문판이나 한글판 혹은 일본어판 중국어판 등 여러 언어 버전으로 설치할 수 있지만, 필자는 앞에서 영문버전으로 설치했었다. 그렇다면 과연 한글입력은 어떻게 할까? 물론 한글입력을 하기 위해 한글판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된다. 여기서 설명하려고 하는 것은 다른 언어판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경우 한글입력을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먼저, 로그인할 때 보면 아래쪽에 [Language]와 [Keyboard]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Language]와 [Keyboard]의 선택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Language]는 시스템 메뉴의 언어를 말하는 것이고, [Keyboard]는 자판기(Keyboard)의 레이아웃을 ..
현재 Fedora에 설치돼있는 웹 브라우저는 Firefox이다. 물론 Firefox만으로도 훌륭한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할 수 있고, 웹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분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웹브라우저이다. 하지만, 한 발짝 더 나아가서 웹 표준을 공부하시려는 분들은 다양한 웹 브라어저의 테스팅이 필요한데,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아쉽게도 모든 웹브라우저가 Fedora에서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굳이 Fedora에 Microsoft Internet Explorer를 설치하지 않을 것이지만(MSIE 6은 설치가능), 웹 표준을 공부하시려는 분들을 위해 Firefox말고 Google Chrome 을 권장하고 싶다. 자 Google 웹 사이트를 방문해보자. 한국Google 혹은 미..
- Total
- Today
- Yesterday
- JAR
- windows 7
- Eclipse
- Apache
- CSS3
- AJAX
- Flex
- 우분투
- Windows 8.1
- javascript
- 원격로그인
- Javadoc
- Android
- 리눅스
- Linux
- Installation
- classpath
- Fedora
- LECTURE
- Fedora14
- SQL
- mysql
- PHP
- J2SE
- ftp서버
- JDBC
- ubuntu
- EditPlus
- dev-c++
- command tool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